자작문서토론
제 생각으로는 자작문서형식으로 쓰는 것은 위키위키의 속성과 맞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맨 윗부분에 저자를 명시해 놓는 부분이나 저작권 명시 부분은 더욱 더 위키위키와 맞지 않게 보입니다.
위키위키에서는 글쓴이를 명시하는 장치가 필명을 남기는 것 이외에는 딱히 없습니다. 그리고, 글을 고친이의 필명이 히스토리에 남게 되지요. 그런데, 자작문서형식처럼 맨 위에 저자를 표시하고 저작권을 표시하는 것은 공동문서 도구인 위키위키의 생리에 맞지 않게 됩니다.
물론, 자작문서 형식에 맞는 글이 있을 것이며, 그러한 글은 자작 문서 형식에 맞게 쓰고, 그 내용이 FAQ페이지와 같은 원래부터 공동작업을 표방한 글은 공동문서 형식으로 만들어 좀 더 위키위키 친화적인 문서를 만드는 것이 나을 것 같습니다. --WkPark
WkPark 님 지적도 일리가 있는 것 같습니다. 전 어제 우연히 답하게된 질문들을 그냥 잊어버리는게 아까와 어딘가에 적어둘 생각을 하게 됐고, 만약 이런 문서를 만든다면 어디에 올리는게 좋을까요? 라는 질문을 했을 때 역시 KLDP가 좋겠다고 해서 여기다 만들었을 뿐입니다. 그리고 참여하는 방법에 올라와 있는 대로 따라한거구요. 결론이 어떤 식으로 나든 전 별로 상관 없습니다. 신경 쓰고 싶지 않다는 건 아니고, 제가 위키에 대해 잘 몰라서 말이지요. -- verotas
저도 참여하는 방법에서 문서 추가 예제를 보고 문서를 저렇게 만들었습니다. 저는 DocBook 포맷으로 만들었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참여하는 방법부분이 미흡하지 않나 생각해 봅니다. 그리고 DocBook 포맷 문제도 #!jade 를 맨 앞에 써주어야 한다는걸 찾을수가 없었기에 그냥 올렸더니 제데로 안나왔습니다. #!jade 부분을 지우신걸 보니 이제 DocBook으로는 올리지 말아야 겠군요..하하.. --pyrasis
DeleteMe 참여하는 방법을 좀 더 자세히 써야 할 것 같습니다 ^^;; --WkPark
저자 표시를 어떤 식으로 할 것인가에 대해 참여하는 방법에서 처음 생각했던 것 이상으로 자세히 생각을 해 보지 않아서 잘 모르겠습니다. 분명한 것은 문서에 대해 저자 표시가 어떤 식으로든 필요하고, 저자 표시가 가장 확실한 credit 표시 방법 중 하나라는 점에서 어떤 식으로든 명시적으로 저자에 대한 표시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그렇게 했던 거고요. 위키의 특성을 생각해서 절충안을 생각해 보자면 저자 표시는 하되 지금과 같은 식이 아니라 이곳의 필명으로 저자 표시를 하고 해당 저자가 더이상 문서를 관리하지 않거나 다른 사람이 관리/갱신 작업을 넘겨받게 되면 그 사람이 자율적으로 필명을 바꾸든가 하는 식이 되면 어떨까 생각합니다. 일단 제 생각은 그렇고, 참여하는 방법페이지도 제대로 기술하지 않은 부분이 많은데 부족하거나 이상하다 싶은 부분이 있다면 가차없이 고쳐 주세요. -- 권순선
DeleteMe Docbook으로 직접 올리실 분은 얼마 없을 것 같으므로 일단은 지워두었습니다. ^^;; 그런데, Docbook문서를 여기에서 직접 작성하신 것인가요 ? 아니면, 다른 곳에 이미 만들어 두신 Docbook문서를 여기에 올려놓으신 것인가요 ? 저는 두번째 경우라고 생각했고요, 시간 되시면 알아서 위키문서로 바꾸시리라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그 문서의 성격상 자작문서로써 그 가치가 인정되므로 그냥 Docbook으로 두어도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특별한 이의를 제기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 역시 관련된 얘기를 남겨두어야 하겠지요. KLDPDoc에 관련된 모든 절차/규칙은 이곳 구성원의 합의로 천천히 만들어질 것입니다. --WkPark DocBook 문서를 만들기야 제 컴퓨터에서 만들었지만. KLDPDoc에 올릴 목적으로 DocBook으로 만들었다고 해야 하겠네요. 제가 지금 까지 만든 2개의 문서는 KLDPDoc를 위해 만든 문서입니다. 만든 문서를 올린곳도 KLDPDoc밖에 없고요. --pyrasis
기본적으로 제 생각은 위키 형식의 문서뿐만 아니라 DocBook형태의 문서도 #jade PI를 이용해서 위키에서 포매팅하여 볼 수 있는 것에 대해 매우 다행으로 생각하고, 외부에서 만들어진 DocBook형태의 문서도 함께 이곳에서 관리해 나갈 수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위키가 편한 사람은 위키 포맷으로 글을 쓰고, DocBook이 편하고 이미 DocBook으로 만들어 놓은 것이 있는 경우에는 DocBook으로 #jade PI를 이용해서 올릴 수 있으니 좋지 않겠습니까. 마찬가지로, linuxdoc 포맷 역시 (이것을 애용하는 사람이 과연 얼마나 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같은 식으로 포용(?)할 수 있으니 좋다고 생각합니다. DocBook 태그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 태그를 잘못 건드리거나 해서 문서 모양이 이상하게 나오지 않을까 하는 걱정도 있습니다만 그런 문제가 생길 만큼 고치기 문화가 활발하다고는 보지 않기 때문에 큰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 권순선
Docbook과 linuxdoc을 기타 위키문서와 동일한 네임 스페이스를 쓰게 할 수는 없다고 봅니다. 기존의 Docbook문서와 linuxdoc문서의 네임 스페이스를 각각 LinuxdocSgml과 DocbookSgml로 분리시킨 것은 원래 그렇게 해야 하기 때문이 아니라, 페이지 이름의 충돌을 막기 위한 네임 스페이스의 분리였던 것입니다. 게다가, 처음에는 위키위키문서로 모두 변환할 계획도 있었으니까요. 네임 스페이스를 확실히 분리시키고, 각각의 네임스페이스에 맞는 문서 형식을 취하는 방식이 맞을 것입니다. 이것은 관리상의 확실한 정책이 필요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여러 문서 형식들이 같은 네임스페이스 않에서 섞이게 되고 관리비용은 늘어날 것입니다. --WkPark
사실 저도 처음에는 조금 당황했습니다만, 조금 생각해보니 이렇게 이해가 됩니다. 권순선님이나 WkPark 님 입장에서는 KLDPDoc 체계를 CVS에서 WikiWiki 기반으로 바꾸고 나서 변화된 환경에 적합한 운영 방식이나 어떻게 사용자들을 더 잘 꼬드길 수 있는지 ![]() 당연히, 관리비용 측면에서 생각해야 합니다. 위키위키를 사용했으니 위키의 형식을 맞추거나 문화에 맞추거나 그 구성원의 합의점으로 찾아가는 것은 당연합니다. 제가 원래 이의를 제기했던 부분을 다시 읽어보세요. 문서가 공동 문서에 촛점을 맞춰야 한다는 것이지요. 위키위키라는 시스템을 사용했으므로 당연히 위키위키의 시스템적 제약도 받게 됩니다. 그것이 바로 페이지 이름이라는 제약입니다. 제 논의의 핵심은 자작문서형식의 글을 쓰지 말고 공동문서형식의 글을 써야 한다는 것입니다. 특히 FAQ류의 글은 자작문서형식과 맞지 않은 것입니다. --WkPark
일단 제 생각은, 자작 문서일 경우라 할지라도 FAQ같은 경우는 저작권을 일반 Docbook처럼 명시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전문적인 문서일 경우는 저작권 표시를 해도 괜찮겠지요. 이런 전문적인 문서같은 경우는 확장자를
-KLDP 를 붙여서 다른 성격의 문서라고 확실히 못박으면 될 것입니다. 그러니까, 제가 처음에 저작권 표시 문제에 이의를 제기한 것은 자작문서에 한한 것이고, 그중에서도 이런 FAQ류를 말한 것입니다. 이러한 형식은 공동문서형식에 정리해 보았습니다. --WkPark
제 생각은 기본적으로 확장자가 어떻게 붙느냐는 큰 문제가 아니라고 봅니다. 일단 번역문서의 경우는 원본 문서의 라이센스를 따르게 될 테니 크게 고민할 필요가 없을 것 같고 자작 문서는 FAQ이든, 특정 프로그램의 사용/설치 방법이든, 특정한 일을 처리하는 방법이든 주로 문서를 작성하는 이가 항상 있을 테니 그 사람(들)을 저자로 두고 라이센스를 명시할 때 다른 사람들의 참여를 독려하는 문구를 함께 포함시키는 것으로 하면 되지 않을런지요. 제 생각에는 CVS/FAQ도 verotas님이 처음부터 만드신 문서이고 이름만 FAQ이지 verotas님이 알고 계신 지식을 나누려고 하는 목적에서 출발했다 뿐 일반적인 FAQ(faq-o-matic 같은 프로그램으로부터 집합적으로 생성되거나 뉴스그룹, 게시판 등의 내용을 취합한)가 아닌 순수 창작 문서와 크게 차이가 없고, 일반적인 의미의 FAQ도 그 컨텐트를 정리하는 데 상당한 노력이 소요되는 만큼 답변 항목에 답변을 단 원 글쓴이 외에 FAQ자체를 정리한 사람의 credit도 존중하는 의미에서 지금처럼 저자 개념을 그대로 두는 것도 크게 문제는 되지 않으리라 생각이 듭니다. -- 권순선
권순선 님 말씀 듣고 보니 제가 애초에 문서 제목을 조금 잘못 선택했나 하는 생각도 드는군요. 처음 번역했던 글이 META-FAQ 라서 그런지 저한테는 CVS/FAQ 라는 문서를 새로 만드는게 별로 이상하게 여겨지지 않았는데,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이상해 보일 수도 있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렇지만 -Tips 같은 제목은 KLTP 라는 별도 프로젝트가 있고 해서 저 문서를 새로 만드는 시점에는 별로 고려해보지 않았고, 저한테는 정말로 Frequently Asked 라고 기억되는 질문들을 끄집어 내서 답변을 달아두는 게 글을 만든 목적이었기 때문에, 적어도 제 머리 속에서는 문서가 가지는 합목적성과 배치되는 제목이 아니라고 생각했단 걸 밝혀두고 싶습니다. 아 그리고 현재로서는 원래 있던 글에 링크 걸어둔 것 말고 다른 사람 글을 Copy & Paste 한 건 없습니다. 앞으로 어떻게 하는게 더 좋을지는 조금 생각해봐야 겠네요. -- verotas
논란이 되던 (제가 쓰지 않았던) 섹션들을 몽땅 지워버렸습니다. 조금은 위키스럽게 바뀌었는지 모르겠군요. 이제 특별히 더 문제될게 없다면 전 문서에 내용 추가하는데 집중하고 싶습니다. DocBook 관련 정책은 정리하셔서 더이상 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잘 부탁드립니다. -- verotas
{{|
CVS/FAQ에 있던 글 옮겨 옴:
FAQ 문서는 그 내용으로 보나 성격으로 보나, 특정 저자가 명시될 필요가 없을 것 같습니다. 즉, 기존의 Docbook에서 쓰듯이 문서를 만들 필요가 없다고 봅니다. 즉, 각 FAQ항목에 답변을 단 기여자의 이름을 남겨도 충분할 것입니다.
왜냐하면, CVS-FAQ라는 이름으로 창작 문서를 만들고 싶어 할 사람이 많을 것이지만, 이 페이지의 이름은 위키에서 딱 한개만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기타 개인 창작문서들이 저자와 관련된 성격상 위키위키와 맞지 않은 것에 원인을 둘 수도 있겠습니다.
일단, CVS_FAQ-KLDP라고 되어있던 문서 이름을 CVS-FAQ로 고치기만 하고, 이에 관련된 문제제기가 된 바 없으므로, 나머지 이에 관련된 토론은 여지로 남겨 둡니다. --WkPark
흑.. 글 쓰는 것을 조심스럽게 해야 겠군요. 왜 이런 문제 제기를 했는지 좀더 분명히 말씀드리겠습니다. 위키위키에서는 페이지이름을 선점하면, 나중에 또 그 페이지를 만드시거나 다듬는 분은 처음에 만들어진 페이지를 찾아보거나, 처음 만들어진 페이지의 정책에 따라가야 할 것입니다. 현재 KLDPDoc은 위키체제입니다. 그러므로 위키위키 문서로 만드는 것이 그 정책을 따르는 것이 됩니다. 그런데, 여기에 예외가 있습니다. 예전의 KLDP문서는 *따로* 위키문서로 바꾸지 않고 원 문서로 두었습니다. 그 대신에 페이지이름이 일반 위키문서와 다르게 구별되어 있습니다. 네임 스페이스가 다르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므로써 기존 Docbook문서와 KLDPDoc의 모든 위키위키문서와 충돌을 피하고 있습니다.
Bootsplash-HOWTO는 Docbook문서로는 처음으로 올라온 문서입니다. 이것을 기존 체계에 맞춰서 DocbookSgml 하위 페이지로 넣어야 할까요 ? 아니면 평상 위키위키문서와 동일한 네임스페이스에 넣어도 되는 문제일까요 ? 이에 관련된 토론이 없었기 때문에 문제 제기를 한 것입니다. --WkPark
Bootsplash-HOWTO는 DocBookSgml 하위로 넣어야 되지 않을까요.? 저는 맨처음에 문서를 올릴때 왜 DocbookSgml 아래로 넣을 수 없는지. 궁금했던 사항입니다.
저는 문서의 형식은 여러개로 둘 수 있으되 네임 스페이스는 확실히 분리해야 한다는 것에 한표입니다. 그러므로, Bootsplash-HOWTO는 DocbookSgml 하위에 넣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 --WkPark
Bootsplash-HOWTO 문서는 DocbookSgml하위에 넣어 주십시오. 제가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좀 가르쳐 주셨으면 감사하겠습니다. 앞으로도 Docbook 형식으로 문서를 쓸것이기 때문입니다.
그쪽으로 페이지를 옮기신 후에 (여느 페이지를 만드는 방법과 같습니다) 원래 페이지의 내용을 지우시거나, 관리자에게 요청을 남기면 rename을 합니다. (관리자가 rename을 하면 모든 히스토리도 같이 옮겨집니다.) 원래 처음 DocbookSgml이 만들어졌을 때는, 이 문서들을 모두 위키위키 문서로 변환을 고려하고 만든 임시적인 하위 페이지였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이런 논의도 없었고요. 그러나, 앞으로도 Docbook문서로 글을 올리려고 하시는 분들도 꽤 되리라 생각됩니다. 순선님 독단으로 OK사인을 보내주시거나 투표를 하거나 해야겠네요
![]() 여기 페이지에 오간 내용을 보면 애초에 WikiWiki 도입에 대해 권순선 님이 생각하시던 거랑 WkPark 님이 주장하시는 거랑 차이가 느껴집니다. 어느 장단에 맞춰야할지 뭐 그런 느낌이 좀 있습니다. -- verotas
앞뒤 사정이 어떻든 간에 다른 분이 애써 작성해서 올린 글에 대해 그 문서 성격상 남들이 많이 관심을 가질 것도 아니기 때문에라고 얘기하신 건 조금 너무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라도 기분 나쁠 것 같아요. 뭐 아주 심각한 문제 해결 같은건 아니지만 BootSplash 같은건 심심할 때 가지고 놀기 딱 좋은 아이템이라는게 제 생각입니다. 심지어 리눅스도 어떤 사람들한테는 그렇죠. 그리고 Docbook으로 직접 올리실 분은 얼마 없을 것 같으므로나 시간 되시면 알아서 위키문서로 바꾸시리라 생각했습니다. 같은 추측은 새로운 시스템에 대해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이 따라갈만한 가이드나 최소한으로 필요한 규칙도 없는 상태에서는 조금 위험한 예단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 verotas
글이 길어서 그냥 여기에 뭉뚱그려서 씁니다.
![]() 그렇다면, 참여하는 방법에 Docbook문서는 Docbook문서로 올리게끔 좀 더 설명적으로 써야 하겠습니다. LinuxdocSgml같은 경우는 아마 아무도 쓰지 않으실 것이고, DocbookXml은 어떻게 할까요 ? DocbookXml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에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면 이것도 [DocbookXml/페이지이름]으로 네임 스페이스를 구분해야 하겠지요.
See also 문서의저작권
|
You will receive a legacy which will place you above w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