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LDP.org · KLDP.net · KLDP Wiki · KLDP BBS ·
외래어표기법

흔히 잘못 알려진 외국어/외래어 한글 표기


영문/외국어 올바른 표기 틀린 표기 구글 비교
C# 씨샤프 씨샵, 씨샾 씨샤프(0%) 씨샵(91.9%) 씨샾(8.1%)
cache 캐시 캐쉬 캐시(10.6%) 캐쉬(89.4%)
flash 플래시 플래쉬 플래시(72.6%) 플래쉬(27.4%)
LISP 리스프 리습 리스프(34.3%) 리습(65.7%)
locale 로캘 로케일, 로켈 로캘(1.4%) 로케일(64.9%) 로켈(33.7%)
manual 매뉴얼 메뉴얼 매뉴얼(61.3%) 메뉴얼(38.7%)
O'Reilly 오라일리 오렐리 오라일리(73.1%) 오렐리(26.9%)
release 릴리스 릴리즈 릴리스(28.6%) 릴리즈(71.4%)
shell 셸(13.8%) 쉘(86.2%)
suite 스위트, 수트 슈트 스위트(73.3%) 수트(9.3%) 슈트(17.4%)
union 유니언 유니온 유니언(10.5%) 유니온(89.5%)
window 윈도 윈도우 윈도(17.7%) 윈도우(82.3%)

union/유니언과 locale/로캘에 대해 어디서 본 적이 있지만 잘 떠오르지 않습니다. 저렇게 나타내야 하는지 알려주실 친철한 분 안 계시나요? 외래어 표기법은 예외가 너무 많은게 탈입니다. -- McKabi
union/유니언의 경우에는 영어 표기 세칙 9항 3조에 /jə/를 '이어'로 표기하도록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locale/로캘의 경우에도 원 발음이 /loukæl/인데, 동세칙 8항에 의해서 ou는 '오'로 표기되고, æ는 외래어 표기법 2장의 표1에 의해서 '애'로 표기됩니다. -- 퍼키

Shell 등의 표기에 대해

[http]한글학회(http://www.hangeul.or.kr/) 자료 마당 2번 글인 외래어 표기법에 따르자면 shell의 표기는 셸이 맞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셸/ 발음을 <쉘>등으로 표기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쉘 대신에 셸이라는 표기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tr 쉘 셸"과 같은 대대적인 변화가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것은 아니지만, 점진적으로 새 글의 작성에 있어서 셸이라는 표기를 늘려가는 것이 어떨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런 표기법 변동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검은해

당연히 '셸'로 써야죠. '쉘'은 정체불명의 표기입니다. 꼭 표기법 규정의 문제가 아니라, 실제로 '쉘'을 그대로 읽어보면 그게 'shell'을 뜻하는 것이라고 받아들이기 어려우실 겁니다. -- musiphil


'쉘'로 쓰던, '셸'로 쓰던 틀리지 않습니다. 외래어가 우리말과 같지 않다는 것은 공부를 하는 사람이면 누구나 알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알리스'와 '앨리스'는 같은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외래어를 우리말로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바다건너 쪽바리 말은 그래도 한글로도 잘 표현이 됩니다만, 그외의 다른 나라 말은 그렇지 않습니다. 그것은 발성구조가 틀리기 때문에 우리말(한글)로 바꾸면, 다른 말(발음)이 됩니다. 우리말로 제대로 표기를 하려면, 이(외래어)에 맞는 정확한 한글 문자(자음, 모음)를 만들어야 합니다. 조금의 설명을 붙이겠습니다. '쉘(shell)의 ㅅ'은 '우리말 ㅅ'과는 발음이 틀립니다. 조금은 '입김이 옆으로 새는 ㅅ'발음 입니다. 예를 들어, 이 '쉘(shell)의 ㅅ'을 '거꾸로 된 ㅅ'으로 지칭을 하면, 바르게 발음할 수 있습니다. 미국애들 사전에 발음기호와 같은 개념이라고 보면 됩니다. 우리말은 발음과 글자가 거의 같기 때문에 이럴 필요가 없습니다.(한글이 으뜸이야!) 외래어표기는 여기에서부터 시작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가진 짧은 지식으로는, 어학자(및 정부)들이 로마자에 맞춘 외래어 표기법을 바꿀 때마다 한숨밖에 안 나옵니다. -- 나그네


죄송하지만 음성학과 음운론을 배운 언어학도이자 영어와 우리말의 네이티브 스피커로서, 나그네님의 거의 모든 말에 허점이나 오류가 있고, 대부분 사실과 거리가 멀다는 것을 말씀드리지 않을 수 없습니다. 왜 그런지 알고 싶으시면 제 필명을 클릭하셔서 글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검은해

Release, 릴리스, 릴리즈

외래어 표기법 규정을 따르자면 어말의 /s/ 발음은 <스>로 적는 것이 옳습니다. Release라는 말을 "발표"등의 용어로 대체하지 않는 한 릴리스라는 말을 쓰는 것이 규정에도 맞고 조금 더 보기 좋지 않을까 생각하는데요.. 어떻게 생각하세요..? 오피즈, 오에즈, 디바이즈, 나이즈라고 하진 않잖아요.. ^^; --검은해
저는 미처 몰랐는데, 지금이라도 알게 되어 정말 다행입니다. 고맙습니다. 표로 관리하는 게 좋을 것 같네요. --퍼키

Window


window는 '윈도'라고 쓰는게 맞겠습니다만, M$-Windows처럼 쓸 때에는 윈도우즈가 맞습니다. 상표 등록이 저렇게 되어 있습니다. 구글 비교 수치가 18% / 82%로 나오는 까닭도 여기에 있지 않을까요? 그리고 M$-Windows를 가리킬 때가 아니라면 'Close the window' 같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때에는 '창을 닫는다'처럼 우리말로 써버려서 윈도/윈도우의 수치에는 포함이 안 되어 버리겠지요. -- McKabi

MS는 한국어판에서도 열심히 Windows라고 표시하고 있습니다. '윈도우즈'라는 표현을 MS가 쓰는 것은 많이 못 본 듯 합니다. 아무래도 숨기고 싶은 상표명이나 그런 게 아닐까요. 아무래도 외래어표기법에서 기존 관용표기에 대해 존중할 것을 앞쪽에 써 놓은 것을 생각해 보면 상표명으로 등록이 됐다면 '윈도우즈'라고 쓸 수 밖에 없겠군요. -- 퍼키

Windows의 예전 한국어 상품명이 '윈도우'였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요즘은 한국어판에서도 Windows라고 표기하더군요. -- musiphil

MS가 등록한 상표는 '한글윈도우'와 '윈도우즈'더군요. --CN

씨샤프

외래어 표기법에서 된소리 표기는 쓰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개인적으로 옳지 않다고 생각하는 규정이긴 합니다만). 따라서 C#은 시샤프가 되겠죠. -- Purple

DeleteMe 철자를 따르는것 보다는 발음을 따르는게 옳지 않나 생각합니다. C#의 경우 "씨ㅤㅅㅑㅍ"이 좋은 표기가 아닐까요? 우리말을 로마자로 표기할때도 철자가 아니라 발음을 기준으로 표기 하니까요. -- wizzet

이 자습서에서는 먼저 전형적인 Hello World 프로그램을 세 가지 언어로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사용할 세 가지 언어는 C++의 업데이트 버전인 Managed Extensions for C++, Visual Basic 그리고 .NET 환경에 맞춰 설계된 새 언어 Visual C#(씨샵으로 읽음)입니다. 씨샵으로 읽는다고 MS가 말하고 있다면 그것을 존중하는 것이 맞지 않을까요? -- CN

query, modeless

우리 나라 '개발자들'이라는 사람들 사이에서 흔히 잘못 표기하는 용어로 query(쿼리 x, 퀴어리 o), modeless(모달리스 x, 모들리스 o)도 있습니다. 추가합니다. -- musiphil

퀴어리, 쿼리는 둘 다 query의 발음의 표기로 인정 가능합니다. Either를 이더, 아이더 두가지로 표기 가능한 것과 유사하게 보시면 됩니다. --검은해


외래어 표기법 1장 제5항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에 따라 이미 존재하는 것들에 대해 이렇다 저렇다 하기보다는 새로운 외래 용어에 대해 정하는 것이 낫다고 봅니다. Fortran, Basic, Python은 어떤 것이 표기법에 맞는지 실제 어떤 것이 사용되는 지 보면 이 페이지의 맨 앞 표에 있는 것들 외에도 고쳐져야 할 것이 얼마나 많은지 알게 될 겁니다. 이미 지난 과거의 용어를 현재의 기준으로 바꾸려면 과거에 그 용어를 사용한 모든 것을 바꿔야 할 겁니다. 새로운 것, 아직 굳어지지 않은 외래 용어에 대해서만 논의 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저도 어느 정도 동감합니다. 현재 관행처럼 굳어진 용어들을 지금 당장 모두 수정한다는 것은 상당한 비용이 뒤따를 것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꾸준한 홍보를 통해 하나씩 하나씩 수정해가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지금 KLDPWiki 상에 있는 용어들을 수정하는데도 상당한 시일이 걸릴테지만, 이것들이 차츰차츰 수정되고 홍보가 된다면 앞으로 그런 용어를 사용할 때는 올바른 용어로 표기가 되겠지요. --윤현호






ID
Password
Join
By failing to prepare, you are preparing to fail.


sponsored by andamiro
sponsored by cdnetworks
sponsored by HP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05-03-15 01:34:24
Processing time 0.0058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