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 Linux
듀얼부팅 시스템에서 coLinux로 전환하기
기존에 듀얼부팅으로 사용하다가 윈도우즈 쓸 일이 많아지니 듀얼부팅으로 부족한 점이 많더군요. vmware로는 사양이 부족하고 해서 coLinux로 전환해 보았습니다.
기존 세팅 ¶
coLinux로 디바이스 매핑하기 ¶hda를 colinux 디바이스로 모두 매핑을 해서 기존 hda의 fstab을 수정하지 않고 사용.
모듈 복사하기 ¶coLinux를 설치하면 같이 딸려있는 coLinux용 모듈을
/lib/modules/ 아래로 복사해 줍니다. 저는 win32 ext2fsd를 사용해서 복사했습니다. ext2/ext3가 아니라면 직접 복사해 넣어줘야 합니다.
TAP 설정 (네트워크) ¶이 설정에서 상당히 많은 시간을 소비하였는데, 외부로 연결되는 장치가 로컬 영영 연결이라면 coLinux를 설치했을 때 로컬 영역 연결 2라는 Tap Win32 네트워크 장치가 설치된다고 하자. 이 경우 원래 외부로 연결되는 로컬 영역 장치는 공유가 되어야 하고, 로컬 영역 연결 2 Tap 장치는 IP가 192.168.0.1로 초기 설정되며, coLinux와 외부연결간 브리지 역할을 하게 된다.
coLinux로 부팅하면 터미널창에 부트 메시지가 주르륵 나오는데, 맨 상단을 잘 보면 네트워크에 관련된 로그를 보실 수 있습니다.
# dual.bat batch파일 내용 (내용이 길어서 \ 표시를 넣고 끊었으나, 원래는 한 줄입니다 colinux-daemon.exe kernel=vmlinux initrd=initrd.gz mem=64 \ cobd0=\Device\Harddisk0\Partition1 cobd1=\Device\Harddisk0\Partition2 \ cobd2=\Device\Harddisk0\Partition3 cobd4=\Device\Harddisk0\Partition4 \ cobd5=\Device\Harddisk0\Partition5 cobd6=\Device\Harddisk0\Partition6 \ hda1=:cobd0 hda2=:cobd1 hda3=:cobd2 hda5=:cobd4 hda6=:cobd5 hda7=:cobd6 \ cofs0=C:\Temp eth0=tuntap root=/dev/cobd1 fastboot nogui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