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LDP.org · KLDP.net · KLDP Wiki · KLDP BBS ·
fluxbox02

1. fluxbox 설정


1.1. 들어가기에 앞서


Fluxbox는 다른 썰렁 일족 창관리자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바탕화면 빈 곳에서 오른쪽 버튼을 싱클 클릭하는 방법으로 메인 메뉴를 제공한다. 이것을 루트 메뉴라고 부른다. 또한 휠 버튼(가운데 버튼)을 클릭하면 모든 작업공간에 걸쳐 현재 열려있거나 최소화가 된 창들을 다룰 수가 있는데, 이것은 작업공간 목록(Workspace)이라고 한다. 마지막으로 바탕화면 하단에 MS 윈도즈의 작업막대나 KDE,GNOME의 패널처럼 생긴 녀석을 플럭박스에선 툴바(toolbar)라고 지칭하고, 툴바의 각 열려있는 창을 나타내는 버튼은 아이콘(iconbar)으로 통용이 된다. 따라서 아이콘이 모여있는 부분만 따로 떼서는 아이콘바라는 이름을 가진다.

팝업 메뉴를 연다는 표현은 해당하는 곳에 마우스 커서를 대고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서 상황에 맞는 Context 메뉴를 연다는 걸 의미한다.

1.2. Configure


Fluxbox의 개괄적인 설정은 플빡 루트 메뉴의 Configure에서 할 수 있다. 위의 스크린샷은 글쓴이의 Configure 메뉴를 이해를 돕는 차원에서 올려놓은 것이다. 개개인의 패키징 상황에 따라 한글 메뉴는 나올 수도, 나오지 않을 수도 있다. 한글화 역시 최신 버전(0.9.14~)에 맞춰져 있으므로 99%의 동일성만을 보장한다. :P (각 메뉴 항목을 설명하면서 원래의 영어 단어도 같이 표기를 해두었으니 도움이 되길 바란다.)

참고로 툴바의 작업공간이나 시간을 표시하는 곳에서 팝업 메뉴를 열면(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툴바의 설정만을 따로이 할 수가 있다. 또한 툴바 설정 메뉴는 루트 메뉴 -> Configure의 하위에도 들어 있다. ^^ 이것은 뒤에서 설명할 Slit, 작업공간 메뉴도 마찬가지. 각각 Configure 메뉴의 하위와 플빡 메뉴를 통해서도 접근이 가능하다. 같은 메뉴들에 대해서 두 가지 호출법이 제공되는 셈이다. Configure에서 지정한 값은 ~/.fluxbox/init 파일에 저장이 된다. 남자라면 한번 쯤은 vim ~/.fluxbox/init 에 도전해 보도록 하자. ( ㅡ -)/

그럼 설정(Configuration) 하위의 항목들을 차근차근 살펴보도록 하겠다.

1.3. 활성화 방법(Focus Model)


당연히 창 활성화와 관련이 있다. 클릭시 활성화(Click to Focus), 커서 위치의 창 활성화(Sloppy Focus), 커서 위치 반자동 활성화(Semi Sloppy Focus)가 있는데 뭐 대충 짐작들은 되실 것이다. 커서 위치 반자동 활성화는 커서 아래에 놓인 창이 초점은 받되 맨 위로 올라오지 않는다. 활성화된 창 자동 올림(Auto Raise) 옵션이 그래서 있는 것이다. 그럼, 커서 위치 반자동 활성화 + 활성화된 창 자동 올림이면 커서 위치의 창 활성화랑 뭐가 다르냐고 물어올 수가 있겠는데 글쓴이도 잘 모른다. (일종의 버그로 그래서 0.9.13인가부터 Semi Sloopy Focus는 사라졌다)

1.4. slit 설정


slit은 간단하게 말해서 윈도메이커, 애프터스텝에서 사용하는 Dock 애플릿들을 실행시킬 수 있게 한, Dock 애플릿들을 위한 개별적인 트레이라고 설명한다면 대충이나마 그 뜻을 헤아린 게 될 것이다. Slit 메뉴에 대한 설명은 slit에서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다.

1.5. 툴바


작업공간 이름 변경(Edit current workspace name)통상 툴바 왼쪽에 작업공간이 표시되는데 이 작업공간의 이름을 수정할 수가 있다. 한글명은 제대로 안 되므로 init 파일을 직접 수정하는 방법을 쓰도록 하자.
툴바 너비(%)(Toolbar width percent)툴바의 너비를 정한다. 마우스 좌우 버튼을 클릭하여서 값을 조절할 수가 있다.
자동 숨김(Auto hide)이것을 활성화 시켜두면 툴바가 위치한 곳으로 커서를 가져갈 때만 툴바가 쏘옥~ 나오게 되고 커서를 치우면 다시 숨어버린다. MS 윈도즈에서 작업 막대를 자동 숨김한 것을 연상하면 쉽게 이해가 갈 것이다.
툴바 표시(Visible)툴바를 표시할지 안 할지를 선택한다. 해제시키면 자동 숨김과는 달리 툴바가 전혀 나타나지 않게 된다.
창 최대화 시 덮기(Maximize Over)창을 최대화시킬 때 툴바도 덮고 완전히 모니터를 꽉 채울 지, 아니면 툴바를 덮지 않는 위치로까지만 최대화를 시킬 지 선택한다. 비활성화 시키는 게 당연히 낫지 않을까?

레이어...(Layer)

포토샵 등을 써봤다면 레이어 개념이 어떤 건지 알고 있을 것이다. fluxbox에서 모든 창들은 Above Dock, Dock, Top, Normal, Bottom, Desktop 레이어에 속하게 되며(즉 창들 사이에 높낮이 구분을 준다) 창이나 툴바의(혹은 Slit의!) 레이어를 이리저리 바꾸면서 재밌는 장난을 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창들은 Normal 레이어에서 열리고 Top 레이어 등으로 올리면 항상 다른 창들 위에 떠 있게 된다. 툴바가 창에 가려지지 않고 항상 위에서 보이도록 하고 싶다면 레이어를 Normal 이상으로 올리고 아니라면 Normal로 그냥 놓자.


위치(Placement)

툴바의 위치를 정한다. 편한 데다가 놓고 써라.

알파 채널값(Alpha)

툴바의 반투명 정도를 설정한다. 좌우 버튼을 사용하고 0은 완전 투명, 255는 완전 불투명이다. 하드웨어 가속을 이용한 알파 블렌딩이 아니므로 어설프게 중간값을 놓으면 시스템 자원을 소비하게 될 것이다.(므하하!) 아직 0.9.15까지는 비어있는 아이콘바나 비활성 아이콘바가 제대로 반투명을 먹지 않는 버그가 있다.그리고 이미지 텍스처를 써서 툴바를 꾸미는 경우에는 반투명 설정은 유효하다. 이미지 텍스처니 하는 말은 나중에 스타일에서 살펴보자.

아이콘바 모드(Iconbar Mode)

툴바에서 현재 띄어놓은 창들을 가리키는 아이콘바의 표시 방식에 대해 결정을 한다.
표시 안함(None)아무 것도 표시하지 않는다.
최소화된 창만(Icons)모든 작업공간의 아이콘화(최소화)한 창들만 표시를 함
최소화된 창은 제외하고 표시(NoIcons)모든 작업공간의 아이콘화한 창은 빼고 표시를 한다.
현재 작업공간에서 최소화된 창만(WorkspaceIcons)말 그대로...
현재 작업공간의 최소화된 창 제외(WorkspaceNoIcons)두 말 하면 잔소리
현재 작업공간의 창 표시(Workspace)아이콘화한 창 포함해서 표시를 함
모든 작업공간의 창 표시(All Windows)역시 아이콘화한 창을 포함


왼쪽 정렬(Left)

왼쪽에서부터 차곡차곡 아이콘바를 채움. 아이콘(각각의 창을 가리키는 막대, 참 용어가 애매한...ㅡㅡ;;)의 너비는 ~/.fluxbox/init 파일에 명시되어 있다.

오른쪽 정렬(Right)

오른쪽에서부터.

양쪽 혼합(Relative)

전체 아이콘바의 너비를 아이콘들이 똑같이 배분해서 차지한다.

아이콘 그림 보기(Show Pictures)
파이어폭스나 xchat, gaim 등과 같이 픽스맵 아이콘 이미지를 가진 프로그램은 아이콘에 이미지를 보여줄 수가 있다. 해제하면 당근 아이콘에는 해당창의 제목표시줄 텍스트만 나타내게 된다. 아직까지 아이콘 이미지가 없는 프로그램에 대한 픽스맵 이미지 지정은 불가능하다. (되면 좋겠는뎅. 그지?)

시계: 12(또는24) 시간제(Clock)
12시간/24시간 제를 선택할 수가 있다.

시간 표시 형식 수정(Edit Clock Format)
기본적으로 시간, 분, 오전/오후 표시만 나오는 시계의 형식을 바꿀 수 있다. 날짜 등의 추가가 가능하므로 man strftime 에서 직접 찾아보시길... (흐흐흐)

1.6. 나머지 Configure 항목들


이제 다시 나머지 Configure 항목들로 돌아가 보자.

이미지 디더링(Image Dithering)이미지 디더링. 8pp 이상의 색상을 쓰고 있다면 필요가 없는 옵션이므로 해제한다.
창 이동 중 내용 보임(Opaque Window Moving)창 이동 시 테두리만 표시를 할지 아니면 내용을 그대로 보이게 할 지를 선택한다. 엑스 윈도의 구조 상 테두리만 보이게 하고 이동을 할 경우엔 모든 프로세스들이 멈추게 된다. 그러므로 체크를 하여 내용이 그냥 보이도록 하자. 동영상이나 음악 파일의 재생이 멈추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화면 전체 최대화 (툴바 위치 포함)Full Maximizationslit이나 툴바의 Maximize Over와 같은 옵션이다. 둘 중에 하나라도 체크가 되어 있으면 모니터를 꽈악 채우게 된다. 따라서 이 기능을 쓰지 않으려면 두 군데 모두 해제를 해놔야 한다.
새로 여는 창 활성화(Focus New Windows)새로 실행되는 창이 활성화가 되게 하는 옵션
Focus Window on Workspace Change작업공간 전환 시 각 작업공간의 마지막 활성창을 기억|유지|복원시킨다. 번역하기가 거시기해서 그냥 놔둔 항목.
작업공간 순환식 전환(Workspace Warping)마지막 작업공간에서 다시 NextWorkspace로 이동을 하면 첫 작업공간으로 돌아오게 한다. 그다지 번역이 맘에 들지 않는 것들 가운데 하나.
마우스 휠로 작업공간 전환(Desktop MouseWheel Switching)휠을 돌려서 작업공간을 이동하게 해준다. 옵션에 따라 툴바 위에서도 먹힌다.
임시창 테두리 꾸밈(Decorate Transient Windows)아주 간단한 메시지 창과 같은 경우엔 창관리자의 테두리 장식이 달리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도 플빡이 관리를 하게끔 하는 옵션.
클릭 시 창 올림(Click Raises)창을 클릭하면 가장 위로 올라온다. 활성화 방법의 클릭 시 활성화만 체크를 해두면 제목표시줄을 클릭할 때만 위로 올라오게 된다. 따라서 클릭 시 활성화를 골랐다면 이것 역시 체크를 해주자.
안티 앨리어스(AntiAlias)session.screen0.workspaceNames작업공간 이름을 여기에 직접 적어줘도 된다. 한글로 써도 알아서 변환이 되지 개의치 말 것. 마지막 이름 뒤에도 쉼표를 찍어두는 걸 잊지 말자. 보기) session.screen0.workspaceNames: \272\273 \301\370 , \276\325\270\266\264\347 , \301\337 \276\323 , \270\326 \306\274 , \274\266\270\326\306\274 ,
session.menuFile메뉴에 대한 설명을 하면서도 언급했듯이 사용자 정의 메뉴를 쓰려 한다면 그 메뉴 파일의 경로를 이곳에서 고쳐주어야 한다.
session.keyFile곧 설명하게 될 단축키 정의 파일도 /etc/X11/fluxbox에서 시스템 전체적인 걸 기본적으로 쓰게 되어 있다. 이것 역시 사용자가 따로 수정해서 쓰려 한다면 경로 수정을 해주자.
session.styleFile/usr/share/fluxbox/styles 인 기본 스타일 경로는 일반 사용자가 새로운 스타일을 추가할 수 있는 권한이 없는 디렉토리이다. 그러므로 자기 홈 디렉토리 아래에 다른 스타일 디렉토리를 더 첨가해서 사용자 고유의 스타일들을 등록시킬 수가 있다.
session.cacheMax플빡이 엑스 서버에게 이미지 캐시에 할당할 메모리 값을 지정한다. 단위는 kb이므로 큰 이미지를 바탕화면에 깐다거나 픽스맵을 theme등에 사용한다면 크게 값을 잡아주자. 기본값은 200. 메모리가 부족하다면 당연히 기본값으로 만족해야 하겠고.
session.slitlistFileslit의 배열 순서를 정해둔 slitlist 파일의 경로를 지정한다. 이 부분은 뒤에서 slit을 설명하면서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다.
session.screen0.strftimeFormat툴바에 나타나는 시계의 형식을 바로 이걸로 바꿀 수 있다.
session.colorsPerChannel플빡이 가상색상 출력에 사용할 컬러수를 얼마나 사용할 지를 지정한다. 자세한 사항은 솔직히 잘 모르겠고 8비트 컬러 사용 시에 4가 맞는 값이라고 한다. 기본값 역시 4이고 그래서 그냥 글쓴이도 4를 쓰고 있다.
session.titlebar.right: Minimize Maximize Close창 타이틀의 오른쪽에 놓일 버튼 들을 정한다. 최소화/최대화/닫기 버튼이 오른쪽엔 놓이게 되어 있다.
session.titlebar.left: Stick역시 마찬가지로 창 타이틀 왼쪽에 놓일 버튼을 정한다. 고정 버튼 하나만 놓게 되어 있다.


이 문서에서 설명이 누락된 옵션들 가운데 이해가 잘 되지 않는 것들이 있다면 man fluxbox를 참조하자. 물론 그냥 기본값을 쓰는 것도 전혀 문제될 게 없고 글쓴이 역시 몇 가지 옵션들은 그냥 기본값을 사용하고 있다.


ID
Password
Join
There is no fear in love; but perfect love casteth out fear.


sponsored by andamiro
sponsored by cdnetworks
sponsored by HP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06-05-02 01:28:15
Processing time 0.0136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