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널 재구성에서 설명한 대로 Sun 디스크 레이블 및 UFS 지원이 가능하도록 여러분의 커널을 재구성했다면, 이제 솔라리스 파티션을 마운트할 준비가 된 것이다. 리눅스로 부팅하는 동안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볼 수 있을것이다:
hda: [PTBL] [523/255/63] hda1 hda2 < hda5 hda6 hda7 hda8 > hda3 <Solaris: [s0] hda9 [s1] hda10 [s2] hda11 [s3] hda12 [s6] hda13 [s7] hda14 >위의 경우에는
hda3
가 6개의 슬라이스를 가진 솔라리스 파티션이며,
각각의 슬라이스(s0,s1,s2,s3,s6,s7)는 hda9
에서 hda14
까지
리눅스 디바이스로 매핑(mapping)되어있다.
솔라리스 파티션을 마운트 해보자. UFS 파티션을 마운트 할 때에는
항상 -oufstype=
옵션을 사용해야 한다.
지금의 경우는 -oufstype=sunx86
이다. 따라서 여러분이 마운트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명령이 될 것이다:
mount -oufstype=sunx86 /dev/hda14 /mnt이제 파티션을 테스트 해보자. Please note: UFS 파티션에 쓰기 작업을 지원하는 것은 매우 실험적인 기능이다. UFS 파티션에 작성한 어떠한 데이터라도 안심하지 마라!
만약 솔라리스 파티션을 부팅시에 자동으로 마운트되게 하고 싶다면, /etc/fstab 파일에 다음과 같은 라인을 추가한다:
/dev/hda14 /solaris ufs ufstype=sunx86 0 0
언제나, 데이터를 공유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하기 마련이다:
나는 솔라리스에서 어떤 플로피 디스크 파일 시스템을 지원하는지 모르겠다. 아는 사람은 메일을...
솔라리스도 리눅스도 모두 NFS를 지원한다.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더 없이 좋은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