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words jk2,qmail [[TableOfContents]] == Apache2 + Tomcat4 설치 == 1. 아파치2 설치 http://mirror.apache.or.kr/httpd/ 아파치2의 설치는 어렵지 않다. 윈도우즈같은 경우는 그냥 바이너리 설치하면 된다. 리눅스의 경우는 필자는 해보지 않았다. 직접 문서를 찾아보거나 해보기 바란다. 2. Tomcat4 설치 http://mirror.apache.or.kr/jakarta/ 톰캣은 버전 4를 설치한다.. 연동을 위해 JK2를 사용할텐데... 이것의 설정이 톰캣 4에 맞춰져 있다. == Apache2 + Tomcat4 연동하기 == 1. JK2의 소스를 다운받는다. http://mirror.apache.or.kr/jakarta/tomcat-connectors/jk2/ 그리고 빌드를 한다.. 참고로 필자는 직접 빌드하지 않고 바이너리를 다운받아 사용했다. 그러므로 소스를 빌드하는 것에 대해서는 적을 말이 없다. 하지만 바이너리 압축 파일에는 workers2.properties라는 필수적인 환경설정파일이 없다,. 그러므로 바이너리를 받아서 사용하는 경우에도 소스도 다운 받아야 한다. 2. 생성된 아파치2 모듈을 아파치2가 설치된 디렉토리의 modules에 복사한다. 3. 소스의 압축을 풀면 ./jk/conf/workers2.properties 가 있다. 이것을 아파치2가 설치된 디렉토리의 conf에 복사한다. 4. 아파치2가 설치된 디렉토리 아래 conf/httpd.conf에 다음을 추가한다. 리눅스의 경우 {{{ LoadModule jk2_module modules/mod_jk2-2.0.43.so }}} 윈도우즈의 경우 {{{ LoadModule jk2_module modules/mod_jk2-2.0.43.dll }}} 참고로 ServerRoot의 PATH가 선언된 후에 모듈을 로드하라고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workers2.properties에서 ServerRoot를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위의 파일에 뒤의 2.0.43은 아파치2의 버젼 명을 가르킨다. 하지만 뒤의 43은 달라도 작동한다. 5. 아파치2가 설치된 디렉토리 아래 conf/workers2.properties를 열어서 다음을 추가한다. TOMCAT_HOME [톰캣이 설치된 경로] 참고로 ${TOMCAT_HOME}를 사용하기 전에 추가해줘야 한다. 그래야 톰캣 홈 경로를 사용할 수 있다. 6. 톰캣4가 설치된 디렉토리 아래 conf/server.xml를 열어서 다음을 확인한다. {{{ <!-- <Connector className="org.apache.ajp.tomcat4.Ajp13Connector" port="8009" minProcessors="5" maxProcessors="75" acceptCount="10" debug="0"/> --> }}} 아마도 이렇게 되어 있을텐데... 앞뒤의 주석 처리를 지워줘야 한다. == 아울러... == 1. 아파치2의 httpd.conf에 전처럼 workers2.properties의 위치를 알리는 등의 설정은 필요 없다. 필자의 추측이지만 mod_jk2-2.0.43 모듈이 알아서 찾아다 사용하는 것 같다. 1. 아파치2와 톰캣4를 재시작하고 {{{http://localhost/examples/}}}를 열어본다. 제대로 설치가 되었다면 "Directory Listing For / ... "가 나올 것이다. 1. mod_jk2는 현재 Apache 프로젝트에서 단종된 상태입니다. mod_jk 사용을 권장합니다. ---- '''문서 일지''' * 페이지 처음 만듦: [이한길] ---- CategorySoftw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