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tooX86 Handbook_Ko_3-5
1.1.1. 패키지 카테고리 제외하기 ¶어떤 분류/패키지에 대해 선택적으로 갱신할 수 있으며 다른 분류/패키지에 대해서는 무시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emerge --sync 단계를 진행하는 동안 분류/패키지를 제외한 rsync를 포티지에 포함함을 통해 해낼 수 있습니다.
/etc/make.conf에 --exclude-from 변수에 있는 제외 옵션을 포함하는 포일들의 이름을 정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예제 1-1 : /etc/make.conf에 제외파일 정의하기
PORTAGE_RSYNC_EXTRA_OPTS="--exclude-from=/etc/portage/rsync_excludes" 예제 1-2 : /etc/portage/rsync_excludes 에서 모든 게임 제외시키기
games-*/* 그러나 이 때문에 새로 생겼지만 제외된 패키지에 의존하는 허가된 새 패키지들로부터 의존성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는것을 명심하십시오.
1.2.1. 포티지 오버레이 디렉토리 정의 ¶포티트리를 통해 사용가능한 비공식적인 ebuild를 사용하도록 포티지에 요청할 수 있습니다. 서드파티 ebuild를 저장할 새 티렉토리(/usr/local/portage)를 생성합니다. 공식 포티지 트리처럼 비슷한 디렉토리 구조를 사용합니다.
그런 후에 /etc/make.conf에 PORTDIR_OVERLAY 를 정의하고 우선 정의된 디렉토리를 가리키도록 합니다. 지금 포티지를 사용중이라면 독자 여러분이 다음에 emerge --sync를 실행할 때 서드파티로부터 온 ebuild를 제거하거나 덮어쓰지 않고 해당 ebuild를 계정에 포함할 것입니다.
1.2.2. 다양한 오버레이로 작업하기 ¶포티지 트리를 건드리기 전에 패키지를 테스트하거나 다양한 소스로부터 비공식적인 ebuild를 사용하길 원하는 몇몇 오버레이를 개발하는 파워유저를 위해, app-portage/gentoolkit-dev 패키지가 오버레이 저장소를 최신으로 유지하는것을 도와주는 도구인 gensync를 제공합니다.
gensync를 통해 모든 저장소를 한번에 업데이트하거나 그들 일부를 선택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저장소에는 저장소 위치, 이름, ID 등이 포함된 /etc/gensync 환경설정 디렉토리에 .syncsource 파일을 지니고 있어야 할 것입니다.
java(개발중에 있는 java ebuilds를 위해)와 entapps(엔터프라이즈 환경을 위해 사내에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을 위한...)로 불리는 두개의 추가적인 저장소가 있다고 가정합니다. 이들 저장소를 다음 명령을 통해 갱신할 수 있습니다.
예제 2-1 : 일부 저장소 갱신을 위해 gensync사용하기
# gensync java entapps 1.3.1. 직접 관리하는 소프트웨어와 함께 포티지 사용하기 ¶어떤 경우 비록 포티지가 소프트웨어 타이틀을 제공할 수 있지마는 독자여러분을 위해 포티지가 과정을 자동화하지 않고 독자여러분이 직접 소프트웨어를 컴파일설정, 설치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알려진 경우를 예로 들자면 커널 소스와 nvidia드라이버들입니다. 포티지를 환경설정하여 일부 패키지가 수동으로 시스템에 설치되었다는걸을 알게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인젝팅(주사)라고 부르며 /etc/portage/profile/package.provided 파일을 통해 포티지에 의해 지원됩니다.
예를 들어 gentoo-source-2.6.11.6에 대해 직접 설치했다는 정보를 포티지에 알리고 싶다면, /etc/portage/profile/package.provided에 다음 줄을 추가하시면 됩니다.
예제 3-1 : package.provided를 위한 한 줄 예제
sys-kernel/gentoo-sources-2.6.11.6 |
His heart was yours from the first moment that you m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