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LDP.org · KLDP.net · KLDP Wiki · KLDP BBS ·
SKKU/Se Project

내용

이 문서는 성균관대학교 소프트웨어 공학 수업을 듣는 학생들의 프로젝트 진행 문서입니다. 소프트웨어 공학에 관심이 있으시거나 지식이 있으시다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  April 2025  »
 12345
6789101112
13141516171819
20212223242526
27282930 

2. 테스트 공간

여기에서 한번 연습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링크거는 법. "소 나타낼이름" [http]성균관대학교
Wiki testㅡ [http]아이캠퍼스로 들어갑니다.

3. 주의

  • 반드시 수정후 Summary of Change에 코멘트를 달아주세요. 그래야만 예전버전으로 돌아갈수 있습니다.
  • 코멘트를 달지 않아도 예전버전으로 돌아갈 수는 있다만 그래도 코멘트를 하는게 좋겠죠??

4. 시나리오


시나리오란을 추가해보았습니다.

4.1. 김동호 시나리오

제가 생각한 화상채팅(화상회의)시스템 입니다. 저는 지난 목요일에도 말씀 드렸듯이... 사내 화상회의 시스템으로 국한하기 보다는 좀 더 범용적이고 대중화된 화상 채팅 시스템을 구상해보았습니다. 그때는 두서없이 말씀드려서 정리해서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1. 취지 및 방향
  • 사내 인트라넷이나 특정 서버를 이용한 시스템이 아닌 웹서버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인터넷을 이용한 일반인 즉, 동호회 모임회의나 소규모 모임의 화상회의, 회사원들의 간단한 회의가 가능한 시스템을 만들고자 합니다. 다른 조와는 다른 소재가 될것이며, 적용분야 및 예상실적을 만들기가 쉬울것으로 생각됩니다.

2. 예상한 구조 . Desketop & Mobile App─→ 인터넷 ─→ 인증서버 ─→ 더미서버 ─→ 리얼서버 & DB서버

  • 서버에 접속해 방을 개설하여 사람들이 들어가는 형식의 구조.(서버는 항시 가동 중)
  • Desktop ver.과 Mobile ver.의 App를 상호 환경에 맞게 2가지로 제작.
  • 간단한 ID/Pass 입력방법으로 인증 처리.
    • 공개키암호(128bit)에 기반한 인증서버 데이타 암호화를 사용한다.
    • 한번 인증을 받아 접근한 사용자는 한번의 연결된 사용에서 재인증을 거치는 절차는 없다.
  • 서버 보안을 위해 더미서버를 사용. (더미서버 리얼서버간 통신속도는 매우 빨라야한다)
  • 회의내용 저장등을 위한 DB서버를 둔다.
  • 서버 관리자로서의 접근은 보안에 철저한 신경을 쓴다.

3. APP에 포함되야 할 기능 및 구조
  • 일종의 커뮤니티와 같은 구조이나 Mobile에서는 그 기능이 제약적이며 단순화된 화면구조를 출력하게 되어있다. Desktop에서는 모든 기능을 지원.(기능이 제약적이라는 뜻은 화상회의자체의 기능이 제약적이라는 뜻은 아님. 화면출력 및 기타기능 제약성을 뜻함)
  • 유저의 취향에 맞추어 여러가지 탭을 둔다.
    • 예를들면 어차피 같은 시스템을 두고 하는 것이지만, 강의실, 동호회, 회의방, 채팅방 으로 탭을 여러가지를 구성.
  • 원칙적으로, 다른 화상회의 시스템이 갖는 보편적인 기능을 지원한다.
    • 최대 8명까지 동시에 회의방에 접속 가능.
    • 회의 진행자(방장)가 존재하며 이 권한은 넘겨주기가 가능.
    • 인터페이스(생각이 잘 안나지만...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인터페이스)
      • 회의 진행자가 발언권을 주게되며 발언권을 얻은 사용자만 음성이 출력됨.
      • 발언권을 얻은 사람의 얼굴이 화면 특정 영역에 다른 사용자들에 비해 크게 출력됨.
      • Etc.
  • 특화된 기능
    • 회의 중 투표기능 : 일정한 사항에 대하여 투표가 필요할경우 진행자는 사용할수가 있다. 찬반 여부 공개일시에는 작은 화면들 오른쪽 구석에 O,X여부가 출력.
    • 회의자료 보여주기 기능
      • 회의에 필요한 자료가 있을시에 필요한 화면을 스크린샷한 정보를 보낸다.(자료를 보기위한 특정APP가 필요없음)
      • mobile특성상 작은 display를 가지고 있으므로 자료가 올라오게되면 "자료보기"버튼이 활성화 되어 그 버튼을 클릭했을 시에만 자료가 화면상에 크게 보이게 되는 인터페이스.
    • 귓속말 기능 : 일종의 쪽지 기능으로 회의 참석자들 중 특정 사람과만 쪽지를 주고받는다.
    • 회의 시작전 간단한 회의 내용 공지기능과 회의종료시 안건 현황을 간단히 공지하는 기능.
    • 회의 내용 기록기능 : 이것은 회의를 시작할때에 진행자가 여부를 결정하게 되며, 특정 버튼이 있어 기록이 되지 않았으면 하는 부분에서는 이 버튼을 클릭하면 잠시 기록이 중단된다.
    • 그룹관리 기능 : 이 기능은 어떤 사람이 로그인을 하여 그룹을 생성하고 그 그룹에 속해야 하는사람을 초대하여 그룹에 가입시키는 기능으로써, 그룹에 가입된 사람들은 그룹쪽지기능, 특정 그룹만 들어올수 있는 회의방 사용 등등이 가능해진다.


5. 자료조사

6. 과제제안서


6.1. 과제명 : 모바일환경에 기반한 화상회의시스템 설계 및 개발


6.2. 개발목표


1. 관련 연구 및 개발
  •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상에서 실시간 멀티미디어 전송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토콜 연구
  • PC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악한 모바일 환경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영상,음성 통합 압축 코덱 연구
  • 편리한 사용성을 보장하는 모바일과 개인용 컴퓨터상에서의 유저 인터페이스 연구
  • 다자간 동시 접속에 따른 서버의 부하를 줄이는 분산 서버 시스템 연구
  • 열악한 네트워크 환경 상에서의 효율적인 대역폭 관리 알고리즘 연구
  • 안전한 회의를 위한 강력한 보안 프로토콜 및 사용자 인증 시스템 연구


2. 화상회의 시스템을 지원하는 서버 구축
  • 실제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고 화상회의 시스템을 통제 관리하는 리얼 서버 구축
  • 서버의 부하를 줄이기위한 더미 서버 구축
  • 사용자의 정보보호를 위한 인증 서버 구축
  • 사용자의 정보와 화상회의 기록 보관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서버 구축
  • 서버 관리자를 위한 관리기능 개발
  • 제한된 모바일환경을 위한 영상 및 음성 품질 조정 기능 개발


3. 화상회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개발
  • 저속의 네트워크 환경상에서도 실시간 전송을 보장하는 통신 모듈 개발
  • 실시간 전송을 지원하는 영상 및 음성 입출력 모듈 개발
  • 작은 모바일 화면상에서도 적합한 모바일 기기 전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
  • 모바일 환경에 비해 더 다양한 기능과 환경을 제공하는 PC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개발


4. 성능 테스트 및 분석
  • 각 네트워크 환경에 따른 서비스 검증
  • 인증 서버와 더미 서버의 안전성 점검
  • 최종 통합 테스트

6.3. 개발필요성


PC를 기반으로 한 화상 회의 프로그램은 이미 많이 상용화 되어 있는 상태이다. MS의 MSN Messenger 등의 messenger 프로그램에서도 화상 회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mobile device에서는 화상 통화 정도의 수준으로 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Mobile device의 processor 성능이 향상되었고, 현재 mobile device에서 wireless LAN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이다. 향후 WiBro 등의 휴대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되면 mobile network 환경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예상된다. 이러한 환경에서는 이동하면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패킷망을 이용한 음성과 영상 통신을 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Mobile device를 이용하여 화상 회의를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지만, 아직 다양하고 강력한 application이 개발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화상 회의 시스템을 mobile device를 이용해서 구현한다면, 기존의 화상회의처럼 한곳에 모여야 하는 시·공간의 제약을 벗어날 수 있게 된다.

결국 이러한 시스템의 사용으로 의사 결정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회의의 효율성을 향상 시킬 수 있게 될 것이다.

현대는 예전과 달리 온라인 상의 커뮤니티가 많아지고 공간의 제약을 벗어나 인적 네트워크가 넓어졌다. 그러나 실질적인 오프라인 모임은 지역적 제약으로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어떤 문제에 대한 회의는 채팅을 이용하여 해결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로 인해 인간관계의 폭은 넓어졌으나 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인간관계의 깊이는 얕아 졌다고 할 수 있다. 화상회의는 텍스트 기반의 대화에서 벗어남으로써 사람 대 사람의 만남에 가까운 접촉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본다.

결론적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화상회의는 시공간의 제약을 벗어나고 회의에 최적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회의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서로의 얼굴을 마주보며 이야기할 수 있게 되어 친밀도를 높일 수 있다.

6.4. 개발내용


1. 상세 개발 내용

Desketop & Mobile App─→ 인터넷 ─→ 인증서버 ─→ 더미서버 ─→ 리얼서버 & DB서버

  • 서버에 접속해 방을 개설하여 사람들이 들어가는 형식의 구조.(서버는 항시 가동 중)
  • Desktop ver.과 Mobile ver.의 App를 상호 환경에 맞게 2가지로 제작.
  • 간단한 ID/Pass 입력방법으로 인증 처리.
    • 공개키암호(128bit)에 기반한 인증서버 데이타 암호화
    • 한번 인증을 받아 접근한 사용자는 재접속시 인증 절차 생략가능
  • 서버 보안을 위해 더미서버를 사용
  • 회의내용 저장등을 위한 DB서버 구축
  • 서버 관리자에게 상세한 보안 설정 환경 제공

2. APP에 포함되야 할 기능 및 구조
  • 일종의 커뮤니티와 같은 구조이나 Mobile에서는 그 기능이 제약적이며 단순화된 화면구조를 출력
  • Desktop에서는 모든 기능을 지원.(기능이 제약적이라는 뜻은 화상회의자체의 기능의 제약이 아닌 화면출력 및 기타기능에 대한 다소간의 제약을 말함)
  • 최대 8명까지 동시에 회의방에 접속 가능.
k * 회의 진행자(방장)가 존재하며 이 권한(회의 발언권 조정, 투표 기능, 결과 요약 등)은 양도 가능
  • 특화된 기능
    • 회의 중 투표기능 : 일정한 사항에 대하여 투표가 필요할경우 진행자가 활성화 (공개/비공개 투표)
    • 회의자료 보여주기 기능 : 회의에 필요한 자료가 있을시에 필요한 화면을 스크린샷한 정보 전송
    • 귓속말 기능 : 일종의 쪽지 기능으로 회의 참석자들 중 특정 사람과만 쪽지 송·수신
    • 회의 시작전 간단한 회의 내용 공지기능과 회의종료시 안건 현황을 간단히 공지하는 기능.
    • 회의 내용 기록기능 : 회의 결과를 서버에 저장 관리하는 기능
    • 방청객 : 회의방을 공개함으로써 기본적으로 발언권 없이 시청만 가능한 서비스 제공
    • 흥미로운 회의 진행을 위한 화면 및 오디오 효과 : 박수(짝짝짝~!), 야유(우~), 응원(대한민국~!)

6.5. 예상실적

  • VoIP 응용 기술에 대한 기반 기술 확보
  • 화상회의 시스템 보편화
  • 기존의 화상회의 보다 시공간적 비용 절감으로 인해 효율성 증대
  • 보다 효율적이고 빠른 모바일용 멀티미디어 통신 환경 기술 확보

6.6. 기술 적용분야

  • 음성·영상 통신을 기반으로 한 응용에 사용될 수 있음.
  •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원격 교육에 응용
  • 의료 장비와 연동하는 원격 진료에 응용
  • 개인 모바일 방송 컨텐츠 공급 가능.
  • 실시간 경매 서비스
  • 홈네트워크와 연동하여 홈 디바이스 원격제어
  • 원격 감시 시스템

6.7. 추진계획


3월 3주차 최신 기술동향 및 주요 개발 방향 연구
3월 4주차 프로젝트 제안서 작성
4월 1주차 요구사항 분석과 시스템 명세서 작성
4월 2주차 전체 시스템 구조 설계
4월 3주차 전체 시스템 구조 설계
4월 4주차 서브 시스템 설계
5월 1주차 서브 시스템 설계
5월 2주차 시스템 통합
5월 3주차 시스템 통합
5월 4주차 테스트 및 전체 프로젝트 평가


6.7.1. 주요 작업 및 결과물

  • 과제제안서
  • 요구사항명세서
  • 구조설계서
  • 상세설계서
  • 설계명세서
  • 테스트계획서
  • 평가서

6.8. 기술현황 분석

  • 모바일에서 화상등 멀티미디어를 서비스 하는 기술과 관련된 기사를 링크합니다 [http]IMS 기술 관련 뉴스

  • 이건 LG에서 IMS기술 기반 VCID 관련 기사입니다 [http]LG의 VCID

6.8.1. 선진국 기술현황 및 발전추세


PC기반 환경에서는 messenger 프로그램에 음성, 영상 통신 기능이 추가되는 상황이다. 간단한 화상 회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MS의 ‘MSN messenger'에서 화상 회의 기능을 이미 제공하고 있다.

VoIP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을 적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도 한다. MS의 'NetMeeting’ 프로그램이 여기에 해당한다. NetMeeting 프로그램에서는 음성과 영상 처리를 위해서 H.323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이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whiteboard 와 desktop sharing 기능은 변형된 ITU T.120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구현되었다.

H.323은 패킷 망에서 VoIP를 실현하기 위해서 ITU-T에서 제정한 프로토콜이며, 이것은 음성, 영상의 codec 규격 등을 포함하는 여러 개의 프로토콜의 집합으로 되어 있다. H323에서 음성은 오디오 코덱인 G.711, G.722, G.723, G.728, G.729를 통해서 전송할 수 있고, 영상은 비디오 코덱인 H261 과 H263을 통해서 처리하고 있다.
T.120은 ITU-T에서 제정한 권고안인데, 여기에는 communication 프로토콜, application 프로토콜과 real-time, multipoint data 통신 등을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 방식을 기술하고 있다.
Mobile 기반에서는 MS사에서 'Portrait'라는 research project가 있다. 이것은 Pocket PC 혹은 Smartphone에서 음성, 영상 통화를 구현하기 위해서 고안되었다. Portrait는 낮은 속도를 가지는 무선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audio와 video를 9.6Kbps의 속도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무선 대역폭에 따라서 품질을 다르게 audio, video를 전송할 수 있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6.8.2. 국내 기술현황 및 발전추세


국내의 현황은 국외와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PC기반 환경에서는 주로 기업에서 화상 회의에 사용될 수 있는 솔루션 개발이 되어 있다. 여기에는 웹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국내 messenger 프로그램에서는 화상 채팅 위주로 기능을 추가시키고 있다.

Mobile 기반 환경에서는 ISP 회사에서 서비스 가입자에게 화상 채팅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있다. KT에서는 Nespot 네트워크를 이용해서 PDA 기기에서 화상 채팅을 할 수 있는 ‘imanPlus' 서비스를 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white board 기능 등을 제공하지만, 음성 통화를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6.8.3. 선진국과 국내의 기술수준 비교분석


PC기반에 비해서 Mobile 환경에서 화상 회의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거의 없는 상태이다. 국외에서는 화상 통화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었고, 화상 회의를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는 상황이다. 국내에서는 주로 화상 채팅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있는 정도이다.

6.9. 과제제안 팀구성 및 경혐

팀구성원에 대한 정보(이름,학번,연락처,과제관련 지식, 경험, 팀장정보 등)에 대한 기술

  • 이서영(팀장)
    • 과제관련 지식 : 데이터베이스
    • 경험 : 대규모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튜닝
  • 김동근
    • 과제관련 지식 : Pocket PC 프로그래밍
    • 경험 : 자바 프로그래밍
  • 남현재
    • 과제관련 지식 : 무~
    • 경험 : 무~
  • 김동균
    • 과제관련 지식 : 전무
    • 경험 : 판타지 소설 다수 섭렵.
  • 유승록
    • 과제관련 지식 : 배우는중
    • 경험 : 배우는중


7. 게시판


captcha
Username:

오타있어요.. ^^;;; '가반한'->'기반한' 인것 같내요. 전 폰쪽 개발하는데... 관심이 가는 위키 페이지내요. 가끔씩 볼 수 있도록, 페이지 알차게 채워주세요.. :D -- skysign 2006-03-22 11:12:56

그렇군요.. 그점은 한번 고려해보겠습니다. -- 동균 2006-03-22 12:07:34

오타 지적 감사합니다. -- 동균 2006-03-22 17:35:05


적어 보긴 했지만, 어색하고 부족하네요..많이 이어갑시다. --동근2006-03-29 07:37:50

음.... 저는 팀원도 아닌가요- -;;; 팀구성에 없네요 = =;;; -- doya1187 2006-03-30 11:46:08



sponsored by andamiro
sponsored by cdnetworks
sponsored by HP

Valid XHTML 1.0! Valid CSS! powered by MoniWiki
last modified 2006-04-01 09:14:38
Processing time 0.0176 se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