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이전 차례

3. 필요한 것들

3.1 NCD X 터미널

X 터미널은 잘 알려진 윈도우즈 시스템인 X 윈도우의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메시지와 화면 표시등을 네트워크를 통해 구현하는 그래픽 터미널이다. 일반적으로 터미널에 쓰이는 X 서버가 부팅 시에 네트워크를 통해 X 터미널로 로딩되고 실행된다. 그 밖의 X 어플리케이션은 X 터미널에서 실행되는 대신에 호스트나 다른 시스템으로부터 실행된다.(물론 몇몇 예외가 있을 수 있다.) 대신에 X 터미널은 그 실행되는 화면을 네트워크를 통해 보여줌으로 사용자와 연결되는 것이다. 즉 X 터미널은 네트워크 자원을 이용하기 위해 X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일종의 네트워크 컴퓨터라 할 수 있다.

3.2 물리적인 연결

NCD사의 X 터미널 - 이 문서를 작성하는 동안에는 Xncd19r모델을 이용하였다. - 은 RT45(트위스트 패어라인 UTP 케이블 역주)를 이용하여 10baseT형식 이더넷을 구현한다. 만일 터미널이 다수라면 허브를 이용하여야 할 것이다. 단 한 대의 호스트와 단 한대의 X 터미널만 있다면 허브 없이도 null 형식의 케이블을 만들어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케이블 및 허브에 대해서는 이더넷 하우투를 참고하기 바란다. null 형식의 케이블 역시 이더넷 하우투에서 찾기 바란다.

3.3 NCD X 터미널 소프트웨어(X Server)

X 서버 프로그램은 각 NCD X 터미널에 적합한 바이너리여야 한다.(일반적으로 X 터미널의 CPU는 인텔 계열이 아닌 16bit 마이크로 프로세서이다. 당연히 X 서버 프로그램은 이러한 각각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바이너리이다. 역주) 이러한 X 서버는 구입 시 제작 회사(NCD)로부터 주어지거나 개인적인 요청에 의해 받을 수 있다.(NCD사의 사용자 지원 센터에 메일을 보내면 된다. NCD X 터미널 뒤쪽에 있는 일련번호를 기억해 두기 바란다. 모델명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있어야 한다. 역주) 이 파일은 호스트 컴퓨터에 위치하여 X 터미널의 부팅 시에 네트워크를 통해 로딩된다. 물론 이 파일은 X 터미널에 맞는 바이너리이고 호스트 컴퓨터는 단지 네트워크로 보내 주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호스트의 종류와는 관계없다.(나중에 더욱 자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겠다.) X 서버는 X 매니저와 함께 제공되기도 한다. 빠른 윈도 매니저를 원할 때는 X 서버처럼 X 터미널 상에서 실행되는 X 매니저를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 중 하나이다.


다음 이전 차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