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는 파괴적이다. 파트타임으로 해킹을 하면서 인터넷이라는 가느다란 선만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세계 수천명의 개발자들에 의해 세계적인 수준의 운영체제가, 마치 마술처럼 만들어질 수 있었으리라고 누가 5년 전에 감히 상상이나 할 수 있었을까? 나는 분명 상상하지 못했다. 1993년 초, 리눅스가 내 레이다 화면에 잡혔을 때 나는 이미 유닉스와 오픈 소스 개발을 10년 동안 해오고 있었으며 1980년대 중반에 GNU 에 공헌한 첫 번째 사람들 중 한명이었다. 나는 네트워크 상에 꽤 많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를 발표했고, 지금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몇몇 프로그램을 개발중이거나 공동개발하고 있었다. (네트핵, Emacs VC 와 GUD 모드, xlife, 등등) 나는 프로그램이 어떻게 개발되어야 하는지 알고 있다고 생각했다.
리눅스는 내가 알고 있다고 생각한 많은 부분을 뒤집어 버렸다. 몇 년 동안이나 나는 작은 도구, 빠른 프로토타이핑, 그리고 진화적인 프로그래밍을 여러 해 동안 유닉스의 복음으로 설교해 오고 있었다. 하지만 나는 어떤 종류의 매우 중요한 복잡성이 있어서 거기에는 더 집중되고 선험적인 접근방법이 필요하다고 믿고 있었다. 가장 중요한 소프트웨어 (운영체제나 Emacs 같이 대단히 커다란 도구들)는 성당을 건축하듯이, 즉 찬란한 고독 속에서 일하는 몇 명의 도사 프로그래머나 작은 그룹의 뛰어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조심스럽게 만들어지고 때가 되기 전에 발표되는 베타버전도 없어야 한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리누스 토발즈의 개발 스타일은 - 일찍, 그리고 자주 발표하며 다른 사람들에게 위임할 수 있는 것은 모두 위임하고, 뒤범벅이 된 부분까지 공개하는 그런 스타일 - 나에게 놀라움으로 다가왔다. 고요하고 신성한 성당의 건축방식은 여기에서 찾아볼 수 없었다. 대신, 리눅스 공동체는 서로 다른 의견과 접근방법이 난무하는 매우 소란스러운 시장같았다. (리눅스 아카이브 사이트가 이것을 적절히 상징하고 있다. 이곳에는 누구나 파일을 올릴 수 있다) 이런 시장바닥에서 조리있고 안정적인 시스템이 나온다는 것은 거듭되는 기적에 의해서만 가능한 것처럼 보였다.
시장 스타일이 매우 효과적이라는 사실은 분명 충격이었다. 리눅스 공동체에 익숙해져 가면서 나는 개개의 프로젝트에 열심이었을 뿐만 아니라 왜 리눅스 세계가 공중분해 되지도 않고 성당건축가들이 상상하기도 힘든 속도로 계속해서 강해지는지 이해하려고 애썼다.
1996년 중반에야 이해가 되기 시작했다. 내 이론을 시험해 볼 수 있는 완벽한 기회가 오픈 소스 프로젝트의 형태로 찾아왔다. 여기에서 나는 의식적으로 시장 스타일을 시도해 볼 수 있었고,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 글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그 프로젝트에 대해 이야기하고 효과적인 오픈 소스 개발에 대한 격언들을 제시할 것이다. 내가 이 모든 것을 리눅스 세계에서 처음 배운 것은 아니지만 리눅스 세계는 이 격언들이 특별한 의미를 가질 수 있게 해주었다. 만일 내가 옳다면, 독자들은 이 격언들로부터 리눅스 공동체가 훌륭한 소프트웨어를 만들어내는 원천이 될 수 있었던 이유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독자들 자신도 더 생산적으로 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