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ver는 호스트안에 계정이 있는 사용자이어야 한다.
% echo to: silver | /var/qmail/bin/qmail-inject그러면, 내용은 없고 메일헤더만 있는 메일이 바로 silver에게 송신되어 있어야 하고, 새로이 도착되는 메일은 silver/Maildir/new/ 밑에 수신메일마다 개개의 파일로 저장된다. /var/log/maillog 파일안의 끝부분에는 다음과 같은 줄들이 보여야 한다.
qmail: new msg 53 qmail: info msg 53: bytes 246 from <me@domain> qp 20345 uid 666 qmail: starting delivery 1: msg 53 to local me@domain qmail: status: local 1/10 remote 0/20 qmail: delivery 1: success: did_1+0+0/ qmail: status: local 0/10 remote 0/20 qmail: end msg 53 ( 53은 inode 숫자이고, 20345 는 프로세서 ID이다. 여러분한테는 이 번호들이 다를 것이다.
none은 호스트의 메일사용자계정이 아니어야 한다.
% echo to: none | /var/qmail/bin/qmail-inject/var/log/maillog 파일안의 끝부분
qmail: new msg 53 qmail: info msg 53: bytes 246 from <me@domain> qp 20351 uid 666 qmail: starting delivery 2: msg 53 to local nonexistent@domain qmail: status: local 1/10 remote 0/20 qmail: delivery 2: failure: No_such_address.__#5.1.1_/ qmail: status: local 0/10 remote 0/20 qmail: bounce msg 53 qp 20357 qmail: end msg 53 qmail: new msg 54 qmail: info msg 54: bytes 743 from <> qp 20357 uid 666 qmail: starting delivery 3: msg 54 to local me@domain qmail: status: local 1/10 remote 0/20 qmail: delivery 3: success: did_1+0+0/ qmail: status: local 0/10 remote 0/20 qmail: end msg 54아마 여러분은 전송되지 못하고, 되돌아온 메일을 보게 될 것이다.
me@wherever 는 hook@hanmail.net 과 갈은 어떤 유효한 메일 주소이어야 한다.
% echo to: me@wherever | /var/qmail/bin/qmail-inject/var/log/maillog 파일안의 끝부분
qmail: new msg 53 qmail: info msg 53: bytes 246 from <me@domain> qp 20372 uid 666 qmail: starting delivery 4: msg 53 to remote me@wherever qmail: status: local 0/10 remote 1/20 qmail: delivery 4: success: 1.2.3.4_accepted_message./... qmail: status: local 0/10 remote 0/20 qmail: end msg 53라인``starting delivery''와 ``success'' 사이에는 얼마간의 시간적 지연이 있을 수 있다. me@wherever 라는 메일 계정으로 온 메일을 확인해 보아라.
우리는 앞에서 root, postmaster, mailer-daemon의 alias 를 설정하였다. 그 alias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확인한다.
% echo to: POSTmaster | /var/qmail/bin/qmail-injectPOSTmaster의 alias 를 설정한 계정 (앞에서는 silver)으로 온 메일을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