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는 Linux(RPM package를 사용할 수 있는)에서의 설치와, Windows용 Client의 설치만을 다룬다.
나는 RedHat Linux를 사용하고 있고, HylaFAX를 별로 컴파일해 보고 싶지 않기에, 이 글에서 소스를 컴파일해서 설치하는 방법은 다루지 않는다.
설치 순서는 다음과 같다.
rpm -Uvh hylafax-4.0pl2-3rh5.i386.rpm
--nodeps
옵션을
주고 설치한다. 만약 ghostscript-font-std 외에 다른 package가 필요하다면
구해서 설치한다.
설정할게 많긴 한데, 별로 어려울건 없다.
/dev/modem
으로 link한다. 만약 COM4에 모뎀이 있다면,
다음과 같이 한다.
ln -s /dev/cua3 /dev/modem
at
OK
at+fclass=?
0,1,2.0
OK
위와 같이 나온다면 당신은 Class 1, Class 2.0을 지원하는 모뎀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usr/bin/faxsetup
을 실행한다. HylaFAX에 관한 설정을 하는
프로그램이다. 커널 컴파일시 make config할 때와 똑같은 user interface를
사용하기에 좀 불편할지도 모르겠다.
물어보는 것에 대해 하나씩 답해준다. 국가번호, 지역번호, 모뎀이 지원하는
Class만 정확히 답해주면 될것이다. 나머지는 그냥 Enter를 치면 default값이
들어간다. 그런데, 처음 HylaFAX를 소개할때 말했듯이 HylaFAX는 어떤
Class든지 사용할 수 있으나, 진짜 FAX기계 중 오래된 것들은 Class 1만을
지원하는 것이 많이 때문에 모뎀이 Class 2나, Class 2.0을 지원하더라도 Class
1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많은 모뎀을 테스트해봤는데, Class 2나 Class
2.0이 제대로 되는 것은 없었다. 팩스를 보내는 것이나 받는 것중 적어도
하나는 작동하질 않았다.
faxaddmodem
을 실행할지 물어본다. 역시 yes라 답한다.
faxaddmodem
에서도 대부분은 default값을 사용한다. 지역번호,
팩스의 전화번호, ``Local identification string'', 받은 팩스의 퍼미션 정도만
똑바로 입력하면 된다.
faxmodem
명령을 실행할 것인지 물어보는데,
yes라 답하면 모든 설정은 끝난다.
윈도용 클라이언트로는 WHFC(A Windows HylaFAX Client)를 사용한다. Win3.1을 제외한 모든 버전의 윈도(win95, win98, winnt)에서 동작한다.
etc/hosts
에
^evacuee@203\.228\.84\.130$
란 줄을 추가한다. 주의할 것은
/etc/hosts
가 아니라 HylaFAX가 설치된 디렉토리에 있는
etc/hosts
파일이란 것이다. RPM으로 설치했다면,
/var/spool/fax/etc/hosts
일 것이다. 사용자 등록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man hosts
해 보면 된다. 또는 HylaFAX FAQ의 Q.105번을 참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