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리눅스 박스가 도메인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네임 서버를 운영해야 한다면 tinydns를 사용한다.
svscan 으로 하여금 새로 만든 서비스를 시작하도록 /service에 링크를 걸어준다.
ln -s /var/dns /service |
5초 이내에 tinydns 데몬이 시작될 것이다.
리눅스 박스의 도메인이 kldp.org 라 한다면 다음과 같이 설정해준다.
cd /var/dns/root/ ./add-ns kldp.org 1.2.3.4 ./add-ns 3.2.1.in-addr.arpa 1.2.3.4 |
이제 웹/메일/ftp 서버등도 돌아가고 있으므로,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예:
cd /var/dns/root/ ./add-host www.kldp.org 1.2.3.4 ./add-alias kldp.org 1.2.3.4 ./add-alias ftp.kldp.org 1.2.3.4 ./add-mx mail.kldp.org 1.2.3.4 make |
이 설정들은 /var/dns/root/data 에 텍스트 형태로 저장되며 수정후에는 tinydns가 사용할수 있는 cdb 형태로 만들어 주기 위해 make 나 tinydns-data 를 실행한다.
이미 설치한 dnscache가 참조하도록:
echo "1.2.3.4" > /var/dnscache/root/servers/kldp.org |
이제 까지의 설정이 제대로 되었는지 tinydns-get으로 확인해보자. tinydns-get은 현재 디렉토리의 data.cdb 파일을 읽어 정보를 출력한다.
$ cd /service/dns/root/ $ tinydns-get a kldp.org 1 kldp.org: 77 bytes, 1+1+1+1 records, response, authoritative, noerror query: 1 kldp.org answer: kldp.org 86400 A 1.2.3.4 authority: kldp.org 259200 NS a.ns.kldp.org additional: a.ns.kldp.org 259200 A 1.2.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