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이전
차례
- rpm -Uvh tetex-*.rpm --nodeps 한다.(nodeps는 별로 좋지 않은 옵션이지만
tetex에 depend되어 있는 패키지가 별로 없기 때문에 과감히 해버려도 상관없다.
tetex-lyx는 lyx설치를 검증하기 때문에 nodeps옵션을 붙인다.)
- rpm -Uvh xform*.rpm 한다.
- rpm -Uvh HLaTeX*.rpm --nodeps 한다.(문체부 폰트의 경우 /usr/bin/ttf2pk를
찾는데 없어도 잘 된다.) --> 혹시 누구라도 ttf2pk파일 가지고 계신분 저한테
보내주시면 올려놓겠습니다.
- tar zxvf CJK-LyX-1.1.4fix3-src.tar.gz한다.
- cd CJK-LyX-1.1.4fix3한다.
- cp ../CJK-LyX-1.1.4fix3_menu-patch . 한다.(원래 CJK-LyX는 Chinese,Japaness,Korean을
다 수용하기 위해 만들었기 때문에 메뉴가 영문으로 나온다. 하지만 한글 메뉴로
나오는게 좋은사람은 이 패치를 적용하면 된다.)
- patch -p1 < CJK-LyX-1.1.4fix3_menu-patch (한글메뉴 패치이다. 나는 잘
알지도 못하는 LaTeX문법 쓰기가 싫어서 메뉴라도 한글로 나오는것을 선호했다.
영문이 더 편한사람은 안해도 무방함)
- cp ../hanout.c src (hanout.c라는 프로그램은 원래 hanX
기가막힌 해킹 프로그램이다. X라이브러리 전체를 한글화 했는데 저자는 생각이
안남.
라는 프로그램안의 일부인데 Debug출력부분과 폰트부분을 바꾸었다. 다른폰트를
가진 사람은 51라인의 HANOUT_FONT부분을 바꾸기 바란다.)
- 폰트 확인은 xfontsel -pattern -*-ksc5601.1987-0으로 해보시고 fndry에 있는
것을 바꿔주시면 됩니다. 저같은 경우 ssc가 있었는데 아마 다른분들은 baekmuk으로
되어 있는 분도 많이 계실 겁니다. 여기서 나온 폰트를 HANOUT_FONT로 바꿔주시면
됩니다.
- configure --prefix=/usr ; make ; make install(root유저로 작업한다. prefix를
주는 이유는 tetex-lyx등이 /usr/share/lyx를 기본으로 설치되기 때문이다. 아마
별 에러 없이 잘 될것이다.)
- lyx를 한번 실행하고 종료한다.(이유는 홈디렉토리에 .lyx디렉토리 생성을 위해서다.)
- cp ../lyxrc.default ~/.lyx(CJK-LyX의 스크린 폰트를 바꾸기 위해서이다.
만약 폰트가 다른 사람은 lyxrc.default의 마지막 네줄을 적절히 편집하라)
- 이 문서는 howto.lyx라는 문서이고 다운받았다면 lyx howto.lyx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다음
이전
차례